본문 바로가기

IT/Truble Shooting

업데이트 오류, 이상한 페이지로 이동 시 hosts 초기화 방법

호스트 파일의 경로는

C:\WINDOWS\system32\drivers\etc\hosts 입니다 .


이 호스트 파일은
메모장에서 열 수 있습니다 .

아래 그림처럼 메모장에서 열 때는
파일 형식을 모든 파일로 하고 여셔야 합니다 .

 


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대충 기본적인 내용입니다 .

# Copyright (c) 1993-1999 Microsoft Corp.
#
# This is a sample HOSTS file used by Microsoft TCP/IP for Windows.
#
# This file contains the mappings of IP addresses to host names. Each
# entry should be kept on an individual line. The IP address should
# be placed in the first column followed by the corresponding host name.
# The IP address and the host name should be separated by at least one
# space.
#
# Additionally, comments (such as these) may be inserted on individual
# lines or following the machine name denoted by a '#' symbol.
#
# For example:
#
#      102.54.94.97     rhino.acme.com          # source server
#       38.25.63.10     x.acme.com              # x client host
127.0.0.1 localhost

#이 보이실겁니다 .
이건 그 줄의 내용은 무시하란 뜻입니다 .
즉 , #의 줄은 써있으되 아무런 의미도 없는 것입니다 .

참고 : 102.54.94.97     rhino.acme.com          # source server
          라고 써있는 경우도 #뒤는 의미가 없는 메모일 뿐이고
          102.54.94.97     rhino.acme.com         
          만이 의미가 있는 부분입니다 .

빨간 글자로 써있는 부분은
localhost가 호출될 때는 127.0.01로 연결되라는 뜻으로
이는 내 시스템 안에서 순환하는 loop back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.

이제 #의 줄들은 무시하고
127.0.0.1 localhost의 밑에 
어떤 내용들이 써있는 경우들을 살펴보시도록 하겠습니다 .

127.0.0.1 localhost
127.0.0.1 daum.net

위와 같이 써있는 경우라고 가정해 봅니다 .
이런 경우 다음을 연결하면 로컬 시스템을 호출하라는 뜻으로
211.xxx.xxx.xxx의 ip를 가진 다음으로 연결이 안되고
로컬 시스템을 호출함으로써

아래와 같은 종류의 메시지를 보게됩니다 .

 


즉 , 이렇게 로컬 호스트를 호출하는 것은 어떤 특정 웹사이트를
호출하는 것을 막아버릴 수 있습니다 .

만약 네이버를 막고 싶다면

127.0.0.1 naver.com 이라고 써넣으면 되는거죠 ......

그리고 만약 내 시스템이나 누군가의 시스템이
특정 사이트만 접속이 안될 때는 호스트 파일에 저렇게
써있을 수도 있으므로 호스트 파일을 살펴봐야만 합니다 .

127.0.0.1 localhost
124.xxx.xx.xx daum.net


이제 위와 같이 써있는 경우를 가정해 봅니다 .
이런 경우는 다음을 호출할 때 정상적으로 호출되어야 하는
211.xxx.xxx.xxx의 ip를 가진 다음으로 연결이 안되고

124.xxx.xx.xx 의 ip를 가진 웹페이지로 연결이 된다는 것입니다 .

즉 , 내가 어디 접속하려 할 때
이상한 예상치 않은 사이트로 접속시는

호스트 파일에 위와 같이 써있지 않나도 살펴 보셔야 합니다 .

이런 경우 대책은 , 일단 잘모르시는 분들께서는 ,
hosts 파일을 다른 폴더에 복사를 해서 백업을 하신 후 ,

etc 폴더내
hosts 파일에서 문제가 되는 줄을 삭제하시고 저장을 하시면 됩니다 .

이미 백업을 해놓으셨으므로 문제 발생시는 백업 파일을
도로 원위치 하시면 됨으로 염려는 안하셔도 됩니다 .....

그런데
만약 이렇게 조치 후에도 또 다시
호스트 파일의 변화가 생긴다면
이는 Malware에 의한 호스트 파일 변조로 보셔야 하고

백신을 통하여 전체 시스템을 정밀 검사하여
그 원인을 찾아내셔야 합니다 .


아래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한 호스트 파일을 초기화 해주는
Fix it 파일과 다운로드 주소입니다 . 필요하신 분들은 참조 바랍니다 .

 

MicrosoftFixit50267.msi


http://support.microsoft.com/kb/972034/ko